✳ 숯장수의 고생 - 물실호기勿失好機.. 제대로 대한국大韓國 주인노릇 하여 보자..

✳ 숯장수의 고생

- 물실호기勿失好機.. 제대로 대한국大韓國 주인노릇 하여 보자..


  11월이니 아직 가을인데 대관령 설악산 제주도 한라산 등에 눈 꽃이 피고 상고대가 열렸다.

        귀한 겨울눈속의 하야 무재개를 서울신문이 올렸기에 갈무리하여 올리니..

        여러분도 흰 무지개의 서기瑞氣를 받아 보시라...


 

< 귀한 하얀 무지개. 서울신문에서 갈무리 >


 


이 글은 한국 고전 번역원의 『한시감상 숯장수의 고생[賣炭苦]』이란 글을 보고 

   현재 우리 모습과 대조 되어 소감을 적은 글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글의 순서 =


1. 임진왜란과 6.25이후의 대한국인의 삶

2. 대한국의 21세기는 살기 좋은가?

3. 살기좋은 대한국을 만들자

4. 물실호기勿失好機, 지금의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21세기 4반세기 이전에 대한국의 주인 노릇 제대로 하여 보자.

5. 한국고전번역원 한시감상 숯장수의 고생[賣炭苦]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1. 임진왜란과 6.25이후의 대한국인의 삶


 한시漢詩 숯장수의 고생[賣炭苦]을 쓴옥담선생이 20대일 때가 임진왜란이었겠다.  숯장수의 고생을 

한자-한문으로 아주 절절히 썼는데 이 글을 읽으면서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은 뭔가?


금수저 흙수저가 횡횡하는 요즘 극단적인 부의 불균형이란 기사를 보며 더욱 임진왜란이 6.25만큼 

처참하였을까? 우리는 6.25를 겪었으나 조국근대화 민족중흥을 앞세워 경제개발에 성공하여 세계 

10대 교역국이 되어 선진국의 문턱이라는데 왜 우리가 나랏사람 모두 함께 살기좋은 나라를 만들지 

못할까?


  극단적인 부(富)의 불균형.."0.7%가 재산 절반 차지해" 2016.11.23  http://v.media.daum.net/v/20161123113051822


 



🔹 2. 대한국의 21세기는 살기 좋은가?


우리 사회도 분명 극단적인 부의 불균형이 있다.

먹고 살만해졌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하지만 여전히 극빈층은 하루 살기가 임진왜란때의 숯장수 만큼 힘들다.


그런데도 경제의 규모를 키워야  한다면서 분배를 정의로 내세웠던 정치인 조차 어느 사이에 분배 보다는 성장

으로 기울고..  그 가운데에서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 챙기기에 열중하고, 겨우 굶지 않고 살만한 사람들은 한결

같이 분배-복지가 나라를 망칠 것이라는 말을 서슴치 않는다.



🔹3. 살기좋은 대한국을 만들자


살기좋은 대한국

정의가 살아 있는 대한국

누구나 할말하고 사는 대한국

배달겨레의 홍익인간 이념이 펼쳐진 대한국

부자는 나누어 주고 빈자는 더 노력하는 대한국


그런 대한국에서 살고 싶다면 군림하고 지배하고 수탈하고 착취하는..


『친미반공의 탈을 쓴 친일가짜보수』


들이 사회의 주류가 되어 있는 사회를 우리 힘으로 바꾸어야 한다.



우리에겐 그런 힘이 있다.

대한국은 국민의 나라이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 부터 나오는데 왜 못하겠는가? 구한말이나 왜정시대의

계몽운동 같은 것은 지금 필요치 않다.


손톱만한 부富를 가지고 행여 이를 잃을까봐 조마조마 하며 『군림하는 친미반공 친일가짜보수』의 편에 

서 있는 우리 주변 사람들이 깨달아야 한다.



🔹 4. 물실호기勿失好機, 지금이 기회이다.  지금의 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21세기의 4반세기를 마치려면 아직 8년이 남아 있다. 지금이 대한국 국민이 대한국 주인 노릇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이다.


21세기 4반세기 이전에 대한국의 주인으로서 살기좋은 대한국을 만들어 보자.



🔹 5. 한국고전번역원 한시감상 숯장수의 고생[賣炭苦]

       http://goo.gl/gIzRRZ



ㅡㅡ 이하. 『숯장수의 고생[賣炭苦]』 인용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한국고전번역원   한시감상

2016년 11월 24일 (목)   백쉰한 번째 이야기



               숯장수의 고생[賣炭苦]



               숯 파는 일 얼마나 고생인가

               숯 팔아도 남은 양식이 없어라

               자신은 작은 땅 한 뙈기 없으니

               본업은 농사와 양잠이 아닐세

               아침엔 산속에 들어가 나무를 베고

               저녁엔 구덩이 파서 숯을 굽는다

               나는 재 얼굴에 묻어 용모는 검고

               뜨거운 불길 몸을 데워 땀은 줄줄

               열 손가락은 쇠갈고리 피부는 거칠고

               허름한 옷 너덜너덜 다리도 못 가린다

               고생스레 숯을 지고 저잣거리에 들어가니

               추위에 언 다리 힘 없어 쓰러질 듯 걷네

               아동들은 거리에 모여 손뼉 치며 웃나니

               산귀신이 어이하여 이 대로에 왔느냐고

               올해는 날씨가 푸근해 숯이 귀하지 않아

               동쪽 서쪽 다 다녀도 하나도 팔지 못했구나

               돌아오매 아내는 원망하고 아이는 배고파 우니

                      우러러 호소해도 하늘은 아득하기만 해라

               사람의 타고난 운명이 저마다 다르니

               술과 고기 냄새 풍기는 고대광실을 보라


               賣炭何苦業매탄하고업

               賣炭無餘粮매탄무여량

               身無立錐地신무립추지

               本業非農桑본업비농상

               朝入山中伐山木조입산중벌산목

               暮劚深坑燒碧炭모촉심갱소벽탄

               飛灰入面狀貌黑비회입면상모흑

               烈焰燻身流赭汗열염훈신류자한

               十指如鉤肌膚裂십지여구기부렬

               短褐懸鶉不掩脚단갈현순불엄각

               辛勤擔負入城市신근담부입성시

               凍脚無力行欹傾동각무력행의경

               兒童亂街拍手笑아동란가박수소

               山鬼何能臻紫陌산귀하능진자맥

               今年無氷炭不貴금년무빙탄불귀

               足徧東西終未鬻족변동서종미죽

               歸來妻怨子啼飢귀래처원자제기

               仰訴皇天天漠漠앙소황천천막막

               人生賦命各有差인생부명각유차

               請見朱門臭酒肉청견주문취주육


               - 이응희(李應禧, 1579~1651), 『옥담사집(玉潭私集)』


ㅡㅡ 이상 5.은  『숯장수의 고생[賣炭苦]』 인용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가을.. 너무 삭막한 이야기.. 아래 16곡의 가을 노래가 이어진다 :::::


    1. 채은옥 - 가을의 여인             2. 조영남 - 낙엽은 지는데        3. 이승재 - 가을나무 사이로
    4. 방미 - 올 가을엔 사랑할거야   5. 산울림 - 가을에 오시나요     6. 신계행 - 가을사랑
    7. 이문세 - 가을이 오면             8. 이선희 - 가을밤                  9. 이영희 - 가을타는 여자
   10. 이용 - 잊혀진 계절              11. 조동진 - 나무잎 사이로       12. 최헌 - 가을비 우산속에
   13. 한영애 - 가을시선               14. 한희정 - 어느 가을             15. 낙엽따라 가버린 사랑
   16. 동물원 - 흐린 가을 하늘에...




               < 위 노래들은 게시자의 승락을 받았지만 음원사용 문제가 있으면 삭제하겠음>


 

 

  

 

 

 

 .밝 누 리.

 [밝은 우리의 온 삶터]

  -밝은 밝음이며, 온은 따뜻함(溫)이고 모두(全 온통)이며, 누리는 살아가는 세상이고 살아가는 역사 입니다-

Posted by koreanuri@hanmail.net
,